그래프 탐색을 위한 DFS와 BFS 알고리즘
지난 글에서는 그래프라는 자료구조를 알아보았습니다. 그래프를 통해 위치를 표현하는 정점과 그 정점에 연결된 나머지 다른 정점을 알아볼 수 있었지요. 이번 글에서는 그래프 탐색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래프 탐색이란, 임의의 시작점 x로부터 시작해서 모든 정점을 한 번씩 방문하는 것을 뜻합니다. 대표적인 그래프 탐색 알고리즘은 BFS(너비 우선 탐색) 알고리즘과 DFS(깊이 우선 탐색) 알고리즘입니다. 그래프 탐색 알고리즘은 어떤 순서로 그래프를 탐색하느냐에 따라서 구분됩니다. DFS 알고리즘과 BFS 알고리즘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 DFS(Depth First Search)
- 갈 수 있는데까지 계속 진행하다가 더이상 진행할 수 없으면 뒤로 돌아와 다시 탐색한다.
- BFS(Breadth First Search)
- 한 정점에서 갈 수 있는 곳을 동시에 가면서 탐색한다.
1. DFS 알고리즘
DFS 알고리즘에서는 스택(Stack)이라는 자료구조로 현재까지 어떤 정점을 들렸는지를 다 기록하고 있기 때문에 최대한 많이 움직이다가 더이상 갈 수 없으면 이전 정점으로 돌아오게 됩니다. 이전 정점에서 갈 수 있는 다른 정점으로 다시 움직이는 알고리즘으로 볼 수 있지요. 탐색 종료 시점은 더이상 갈 수 있는 정점이 없어, 이전 정점으로 재귀적으로 돌아가며 더이상 방문할 정점이 없는 때를 의미합니다.
1.1 구현
1.1.1 인접행렬(adjacent matrix)로 구현
// adjacent matrix in c++
void dfs(int x) { // dfs(x)는 정점 x에 방문했다라는 것을 의미
check[x] = true;
printf("%d ", x);
for (int i=1; i<=n; i++) {
// 인접행렬로 구현, n은 차수
if (a[x][i] == 1 && !check[i]) {
// **간선이 존재** && 방문하지 않았을 때
dfs(i);
}
}
}
# adjacent matrix in python
def dfs(x):
check[x] = True
print(x, end=' ')
for i in check[x]:
if not check[i]:
dfs(i)
1.1.2 인접리스트(adjacent list)로 구현
인접행렬과 저장방식만 다릅니다. 다음 정점, 즉 간선을 나타내는 코드를 주목해보세요.
// adjacent list in c++
void dfs(int x) {
check[x] = true;
printf("%d ", x);
for (int i=0; i<a[x].size(); i++) { // x에 있는 정점의 개수만큼 반복
int y = a[x][i]; // 간선에 연결된 다음 정점을 찾는다.
if (!check[y]) { // 방문하지 않았으면 (간선이 존재하는지 체크하지 않아도 됨)
dfs(y); // dfs() 를 재귀호출
}
}
}
1.2 시간복잡도
dfs(x)
는 x에 방문하는 함수이므로 정점의 개수, 즉 차수인 V번만큼 dfs(x)
가 호출됩니다.
따라서 dfs(x) 시간복잡도 * V
가 전체 dfs 알고리즘의 시간복잡도가 됩니다. 구현 방식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 구체적으로 알아보도록 합시다.
-
인접행렬에서의 시간 복잡도
- 모든 정점을 다 찾아봐야 하기 때문에 dfs(x)의 시간 복잡도는 O(V)
- dfs(x)가 V번 호출되어야 하므로 전체 dfs 알고리즘의 시간복잡도는 O(V*V) = O(V^2)
-
인접리스트에서의 시간 복잡도
- 인접행렬과 마찬가지로 dfs(x)는 V번 호출
- dfs(x)의 시간복잡도는 O(V+E)
- 인접리스트에서 dfs가 호출되는 방법은 모든 정점을 다 찾는 인접행렬의 탐색 방법과 다릅니다.
- 또한 a[x].size()는 전체 간선의 개수가 아니라, 한 정점과 연결된 간선의 개수이기 때문에 dfs(x)의 시간복잡도는 O(E)가 아님을 주의해야 합니다.
2. BFS 알고리즘
한편 BFS 알고리즘은 큐(Queue)라는 자료구조를 이용해서 어디를 방문할 것인지를 기록합니다. 탐색 진행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BFS에서는 갈 수 있는 모든 정점을 일단 Queue에 넣는다. Queue에 넣는 행위는 '방문했다'라는 것을 의미한다.
- 방문했다는 것을 의미하는 check[i]를 변경하는 시점은 queue에 넣을 정점을 때다.
- queue에 넣어놓고 check[i]를 변경시키지 않으면 방문한 정점이 queue에 중복되어 생기기 때문이다. 이는 모든 정점을 한 번씩 방문하겠다는 그래프의 탐색 목적에 위배된다.
- queue가 비어있으면 BFS 탐색을 완료한다.
2.1 구현
2.1.1 인접행렬로 구현
C++를 사용할 때는 queue 같은 stl을, Java는 Queue를, Python을 사용할 때는 collections.deque()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물론 직접 구현해도 상관 없습니다.
// adjacent matrix in c++
queue<int> q;
check[1] = true; q.push(1); // 시작점을 1이라고 가정
while (!q.empty()) {
int x = q.front(); q.pop(); // queue의 가장 앞에 있는 것을 빼준다. x는 현재 내가 방문하고 있는 정점을 의미한다.
printf("%d ", x);
for (int i =1; i<=n; i++) { // 인접행렬에서는 1부터 정점 개수 n만큼 모두 살펴보아야 한다.
if (a[x][i] == 1 && !check[1]) { // 간선이 있고 아직 방문하지 않았다면,
check[i] = true; // 방문과 동시에 queue에 중복된 정점이 생기는걸 막기 위해 check배열을 갱신한다.
q.push(i);
}
}
}
2.1.2 인접리스트로 구현
정점을 찾는 방법이 달라지는 것을 주목해보세요.
// adjacent list in c++
queue<int> q;
check[1] = true; q.push(1);
while (!q.empty()) {
int x = q.front(); q.pop();
printf("%d ", x);
for (int i=0; i<a[x].size(); i++;) {
int y = a[x][i];
if (check[y] == false) {
cehck[y] = true; q.push(y);
}
}
}
2.2 시간복잡도
BFS 알고리즘의 시간복잡도는 DFS 알고리즘의 시간복잡도와 같습니다. 물론 구현 방식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납니다.
- 인접행렬 : O(V^2)
- 인접리스트 : O(V+E)
- 참고 :
if (check[y]== false)
검사를 하기 때문에 모든 정점을 다 방문하는게 아니라, 간선의 개수 (V)에다가 정점의 개수(E)만큼이 추가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 참고 :
This work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atives 4.0 International License.